본문 바로가기
T.I.L(Today I learned)/CS

220828 정보처리기사 실기 D-49

by Amy97 2022. 8. 28.
728x90

모의고사 11회 

 

메타데이터(Metadata)

자료 그 자체가 아닌 자료의 속성 등을 설명하는 데이터로 데이터에 관한 정보의 기술, 데이터 구성의 정의, 데이터 분류 등을 위한 데이터 

데이터의 데이터라고 부른다

 

통신 프로토콜

NetBIOS(Network Basic Input/Output system) 응용계층(7계층)의 애플리케이션이 프로그램에 API를 제공하여 상호 통신할 수 있도록 해주는 프로토콜
ICMP(Internet Control Message Protocol) 네트워크 계층(3계층)에서 IP 패킷을 처리할 때 발생하는 문제를 알려주고 수신지 도달 불가 메시지를 사용하여 수신지 또는 서비스에 도달할 수 없는 호스트를 통지하는 데 사용하는 프로토콜

 

보안 공격 시 많이 활용되는 도구

웜 Worm 스스로를 복제하여 네트워크 등의 연결을 통하여 전파하는 악성 소프트웨어 컴퓨터 프로그램으로 컴퓨터 바이러스와 비슷하지만 바이러스가 다른 실행 프로그램에 기생하여 실행하는 데 반해 웜은 독자적으로 실행되며 다른 실행 프로그램이 필요하지 않은 특징이 있음
악성 봇 Malicious Bot 스스로 실행되지 못하고 해커의 명령에 의해 원격에서 제어 또는 실행이 가능한 프로그램 혹은 코드로 주로 취약점이나 백도어 등을 이용하여 전파되며 스팸 메일 전송이나 분산 서비스 거부 공격(DDoS) 등에 악용됨

 

블랙박스 테스트(Black-Box-Test) 또는 명세 기반 테스트

프로그램 내부 논리 구조를 참조하지 않고 사용자의 요구사항이나 설계 명세 등을 이용하여 테스트 케이스를 개발하여 테스트하는 방법

소프트웨어의 특징, 요구사항, 설계 명세서 등에 초점을 맞춰 테스트가 이루어진다

기능 및 동작 위주의 테스트를 진행하기 때문에 내부 구조나 작동 원리를 알지 못해도 가능하다

 

집계 함수는 NULL인 값은 제외하고 계산한다

COUNT 복수 행의 줄 수
SUM 복수 행의 해당 컬럼 간의 합계
AVG 복수 행의 해당 컬럼 간의 평균
MAX 복수 행의 해당 컬럼 중 최댓값
MIN 복수 행의 해당 컬럼 중 최솟값
STDDEV 복수 행의 해당 컬럼 간의 표준편차
VARIAN 복수 행의 해당 컬럼 간의 분산

 

주요 암호화 알고리즘 유형

[대비해] 칭 키 암호화 알고리즘 / 대칭 키 암호화 알고리즘 / 시 암호화 알고리즘

대칭 키 암호화 알고리즘 암호화 알고리즘의 한 종류로 암/복호화에 같은 암호 키를 쓰는 알고리즘의 의미
e.g) ARIA 128/192/256, SEED
비대칭 키 암호화 알고리즘 공개키는 누구나 알 수 있지만 그에 대응하는 비밀키는 키의 소유자만이 알 수 있도록 공개키와 비밀키를 사용하는 알고리즘
e.g) RSA, ECC, ECDSA
해시 암호화 알고리즘 해시값으로 원래 입력값을 찾아낼 수 없는 일방향성의 특성을 가진 알고리즘
e.g) SHA-256/384/512, HAS-160

 

윈도 함수(Window Function)

OLAP 함수라고도 하고 데이터베이스를 사용한 은라인 분석 처리 용도로 사용하기 위해서 표준 SQL에 추가된 함수

 

윈도 함수의 기본 문법과 분류

SELECT 함수명(파라미터)
     OVER
([PARTITION BY 컬럼1, ... ]  [ORDER BY 컬럼A, ...])
     FROM 테이블명
PARTITION BY는 선택 항목이며 순위를 정할 대상 범위의 컬럼을 설정
PARTITION BY 구에는 GROUP BY절이 가진 집약 기능이 없으며 이로 인해 레코드가 줄어들지 않음
PARTITION BY를 통해 구분된 레코드 집합을 윈도라고 함
윈도 함수에는 OVER 문구가 필수적으로 포함
ORDER BY 뒤에는 SORT 컬럼을 입력(어떤 열을 어떤 순서로 순위를 정할지를 지정)

 

DRS(Disaster Recovery System)의 유형

Mirror Site 주 센터와 데이터복구센터 모두 운영 상태로 실시간 동시 서비스가 가능한 재해복구센터
재해 발생 시 복구까지의 소요 시간(RTO)은 즉시(이론적으로 0)
Hot Site 주 센터와 동일한 수준의 자원을 대기 상태로 원격지에 보유하면서 동기, 비동기 방식의 미러링을 통하여 데이터의 최신 상태를 유지하고 있는 재해복구센터
재해 발생 시 복구까지의 소요 시간(RTO)은 4시간 이내
Warm Site Hot site와 유사하나 재해복구센터에 주 센터와 동일한 수준의 자원을 보유하는 대신 중요성이 높은 자원만 부분적으로 재해복구센터에 보유하고 있는 센터
데이터 백업 주기가 수 시간 ~ 1일
재해 발생 시 복구까지의 소요 시간(RTO)은 수일 ~ 수주
Cold Site 데이터만 원격지에 보관하고 재해 시 데이터를 근간으로 필요 자원을 조달하여 복구할 수 있는 재해복구센터
재해 발생 시 복구까지의 소요 시간(RTO)은 수주 ~ 수개월
구축 비용이 저렴하나 복구 소요 시간이 길고 신뢰성이 낮음

 

728x90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