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의고사 18회
KPI(Key Performance Indicator)
기업의 목표를 달성하기 위한 지표
사업, 부서, 혹은 개인 차원의 목표가 달성되었는지 그 실적을 추적하기 위한 정량화된 측정 지표
KPI를 설정하면 첫째 비즈니스의 목표를 수립할 수 있고, 둘째 비즈니스의 방향이 올바르게 진행되고 있는지 모니터링을 할 수 있으며, 셋째 완성된 프로젝트를 되돌아보고 세부 활동들이 얼마나 유효했는지 평가할 수 있다
무선보안과 관련된 주요 용어
SSID(Service Set IDentifier) | 무선 랜을 통해 전송되는 패킷들의 각 헤더에 덧붙여지는 32바이트 길이의 고유 식별자 SSID는 하나의 무선 랜을 다른 무선 랜으로부터 구분 |
WPA(Wi-Fi Protected Access) | Wi-Fi 얼라이언스에서 Wi-Fi의 송출 신호에 대한 보안을 위해 고안된 물리 계층에서의 패킷 암호화 방식 TKIP과 AES의 두 가지 표준 기술 중 하나를 사용하여 WEP보다 강력한 암호화를 제공 |
WLAN(Wireless LAN)은 고유 네트워크 이름을 사용하여 네트워크를 식별한다. 이러한 이름을 SSID라고 하며, Wi-Fi 어댑터를 설정할 때 SSID를 지정한다
m: 간선의 개수, n: 노드의 개수(정점의 개수)
방향 그래프의 최대 간선 수 구하는 공식: m=n(n-1)
보안 운영체제(Secure OS)
기존의 운영체제에 내재된 보안 취약점을 해소하기 위해서 보안 기능을 갖춘 커널을 이식하여 외부의 침입으로부터 시스템 자원을 보호하는 운영체제
보안 운영체제에서 참조 모니터(Preference Monitor)는 핵심 요소로, 보호 대상의 객체에 대한 접근통제를 수행하는 추상 머신이며 이것을 실제로 구현한 것이 보안 커널이다
SW 개발 보안의 3대 요소
[기무가] 기밀성, 무결성, 가용성
기밀성 Confidentiality | 인가되지 않은 개인 혹은 시스템 접근에 따른 정보 공개 및 노출을 차단하는 특성 |
무결성 Integrity | 정당한 방법을 따르지 않고서는 데이터가 변경될 수 없으며, 데이터의 정확성 및 완전성과 고의/악의로 변경되거나 훼손 또는 파괴되지 않음을 보장하는 특성 |
가용성 Availability | 권한을 가진 사용자나 애플리케이션이 원하는 서비스를 지속해서 사용할 수 있도록 보장하는 특성 |
SSL/TLS
전송계층과 응용계층 사이에서 클라이언트와 서버 간의 웹 데이터 암호화(기밀성), 상호 인증 및 전송 시 데이터 무결성을 보장하는 보안 프로토콜
사용성 테스트(Usability Test)
사용자가 직접 제품을 사용하면서 미리 작성된 시나리오에 맞추어 과제를 수행한 후 질문에 답하도록 하는 테스트
UML(Unified Modeling Language)
객체지향 소프트웨어 개발 과정에서 산출물을 명세화, 시각화, 문서화할 때 사용되는 모델링 기술과 방법론을 통합해서 만든 표준화된 언어
데이터 일관성
삽입, 삭제, 갱신, 생성 후에도 저장된 데이터가 변함없이 일정한 성질
데이터 무결성
부적절한 자료가 입력되어 동일한 내용에 대하여 서로 다른 데이터가 저장되는 것을 허용하지 않는 성질
OLAP 연산
Roll up | 분석할 항목에 대해 구체적인 데이터로부터 요약된 형태의 데이터로 접근하는 연산 |
Drill down | 분석할 항목에 대해 요약된 형태의 데이터로부터 구체적인 데이터로 접근하는 연산 |
Slicing | 온라인 분석처리를 위한 자료 구조인 데이터 큐브의 한 조각을 볼 수 있게 해주는 연산 |
Dicing | 고정된 다차원 값에 대한 연산 |
Pivoting | 다차원 분석 테이블인 크로스 테이블에서 차원 변경을 위해 사용되는 연산 |
메타데이터 레지스트리(MDR; Metadata Registry)
메타데이터(Metadata; 데이터의 의미 파악을 위한 데이터)의 등록과 인증을 통하여 표준화된 메타데이터를 유지·관리하며, 메타데이터의 명세와 의미의 공유를 목적으로 하는 데이터베이스
표준화된 메타데이터를 사용하여 데이터에 대한 접근과 사용을 촉진하고 메타데이터가 설명하는 특징에 따른 데이터의 조작을 가능하게 해준다
CPS(Cyber-Physical System) | 가상 물리 시스템으로 인간의 개입 없이 대규모 센서·액추에이터를 갖는 물리적인 요소들과 통신 기술, 응용·시스템 소프트웨어 기술을 활용하여 실시간으로 물리적 요소들을 제어하는 컴퓨팅 요소가 결합된 복합 시스템 |
디지털 트윈 Digital Twin | 물리적인 사물과 컴퓨터에 동일하게 표현되는 가상 모델로 실제 물리적인 자산 대신 소프트웨어로 가상화함으로써 실제 자산의 특성에 대한 정확한 정보를 얻을 수 있고, 자산 최적화, 돌발사고 최소화, 생산성 증가 등 설계부터 제조, 서비스에 이르는 모든 과정의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모델 |
푸트남(Putnam) 모형
소프트웨어 개발 주기의 단계 별로 요구할 인력의 분포를 가정하는 모형으로 시간에 따른 함수로 표현되는 Rayleigh-Norden 곡선의 노력 분포도를 기초로 하는 비용산정 모형
디자인 패턴 유형 중 구조 패턴 유형
Bridge | 기능의 클래스 계층과 구현의 클래스 계층을 연결하고, 구현부에서 추상 계층을 분리하여 추상화된 부분과 실제 구현 부분을 독립적으로 확장할 수 있는 디자인 패턴 구현뿐만 아니라, 추상화된 부분까지 변경해야 하는 경우 활용 |
Decorator | 기존에 구현되어 있는 클래스에 필요한 기능을 추가해 나가는 설계 패턴으로 기능 확장이 필요할 때 객체 간의 결합을 통해 기능을 동적으로 유연하게 확장할 수 있게 해주어 상속의 대안으로 사용하는 디자인 패턴 객체의 결합을 통해 기능을 동적으로 유연하게 확장 |
Facade | 복잡한 시스템에 대하여 단순한 인터페이스를 제공함으로써 사용자와 시스템 간 또는 여타 시스템과의 결합도를 낮추어 시스템 구조에 대한 파악을 쉽게 하는 패턴으로 오류에 대해서 단위 별로 확인할 수 있게 하며 사용자의 측면에서 단순한 인터페이스 제공을 통해 접근성을 높일 수 있는 디자인 패턴 통합된 인터페이스 제공 |
Flyweight | 다수의 객체로 생성될 경우 모두가 갖는 본질적인 요소를 클래스화하여 공유함으로써 메모리를 절약하고 '클래스의 경량화'를 목적으로 하는 디자인 패턴 여러 개의 '가상 인스턴스'를 제공하여 메모리 절감 |
Proxy | '실제 객체에 대한 대리 객체'로 실제 객체에 대한 접근 이전에 필요한 행동을 취할 수 있게 만들며 이점을 이용해서 미리 할당되지 않아도 상관없는 것들을 실제 이용할 때 할당하게 하여 메모리 용량을 아낄 수 있으며 실체 객체를 드러나지 않게 하여 정보은닉의 역할도 수행하는 디자인 패턴 |
Composite | 객체들의 관계를 트리 구조로 구성하여 부분-전체 계층을 표현하는 패턴으로, 사용자가 단일 객체와 복합 객체 모두 동일하게 다루도록 하는 패턴 복합 객체와 단일 객체를 동일하게 취급 |
Adapter | 기존에 생성된 클래스를 재사용할 수 있도록 중간에서 맞춰주는 역할을 하는 인터페이스를 만드는 패턴으로 상속을 이용하는 클래스 패턴과 위임을 이용하는 인스턴스 패턴의 두 가지 형태로 사용되는 디자인 패턴 인터페이스가 호환되지 않는 클래스들을 함께 이용할 수 있도록 타 클래스의 인터페이스를 기존 인터페이스에 덧씌움 |
'T.I.L(Today I learned) > CS' 카테고리의 다른 글
220915 정보처리기사 실기 D-31 (0) | 2022.09.15 |
---|---|
220914 정보처리기사 실기 D-32 (0) | 2022.09.14 |
220912 정보처리기사 실기 D-34 (0) | 2022.09.13 |
220909 정보처리기사 실기 D-37 (0) | 2022.09.13 |
220906 정보처리기사 실기 D-40 (0) | 2022.09.06 |
댓글